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6

주식 투자 기초 개념 정리 2편

1편에 이어 2편도 작성합니다. 앞에서 주식을 이용해서 기업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는지 다루었고, 이번 편에서는 종합주가지수에 대해 알아봅시다. 종합주가지수 주식은 몰라도 뉴스에서 코스피가 3천선을 돌파했네, 하는 것은 아마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종합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이용해 산출하는 일종의 지표입니다. 때문에 주식 시장이 올랐네, 내렸네, 하는 것은 종합주가지수를 보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가증권을 거래하는 유통시장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있습니다. 코스피 시장의 종합주가지수는 코스피(KOSPI)지수, 코스닥 시장의 종합주가지수는 코스닥(KOSDAQ)지수라고 부릅니다. 코스피 시장의 덩치가 코스닥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뉴스에서 코스닥 지수를 콕 찝어 이야기..

주식 투자 기초 개념 정리 1편

요즘 주식 투자를 시작한 지인들이 많아 주식 기본 개념들을 정리해 봅니다. 주식이란 주식은 유가증권의 일종으로, 일종의 재산권을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일단 회사가 주식을 상장하는 이유에 대해 봅시다. 사업을 하려는데, 자금이 많이 필요해서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기업을 공개하고, 주식을 발행해 투자자를 모집합니다. (비록 상장은 안되어 있지만) 텀*벅 같은 펀딩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완성을 위해 사람들을 모집하고 보상(상품)을 약속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산 사람 (= 주식을 가진 사람)은 주주라고 불리며, 주주들은 주주총회를 통해 자신들이 사들인 주식만큼 회사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단, 우선주의 경우 배당금을 더 많이 받는 대신 주주총회에서 행사할 수 있는 의결권이 사라집..

증권사 텔레그램 채널 모음

전반적인 시황, 투자 아이디어 시황과 투자 아이디어를 내놓는 채널은 다양하고 많습니다. 가끔 다른 채널들이 전달하는 내용이 겹치기도 하므로(특히 뉴스를 많이 전달해주는 채널들 경우), 본인 취향에 맞는 채널을 골라 들어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자주 들어가는 채널은 삼성 매크로, 메리츠 경제분석, 대신증권. 유안타증권 리서치 센터: 골고루 다룸. 뉴스도 많이 전달해 줍니다. https://t.me/yuantaresearch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You can view and join @yuantaresearch right away. t.me 하나금투 마케팅 & 리서치: 전반적인 섹터 및 주식 시황 전달. https://t.me/HanaResearch 하나금투 마케팅 & 리서치 하나금융투자 주요 ..

전기차의 미래

아래 이어지는 내용은 NICE 신용평가에서 김명수 부사장이 쓴 [전기차의 미래] 요약이다. 전문은 pdf 파일로 첨부했다. (총 11페이지) 자동차 산업의 간단한 역사 1940년대 초반 중동의 석유가 발견되고, 2차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경제가 성장함과 동시에 석유 수급이 안정화 되어 자동차 산업이 발전했다. 자동차 산업은 미국과 독일 위주로 발달해왔다. 1971년 로마클럽에서 발간된 [인류의 위기] 보고서에서 석유자원의 한정성을 다루었고, 1973년 산유국들의 단합으로 유가가 급등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때 일본이 고연비 소형 자동차를 개발해서, 미국과 독일에 이어 일본차도 메이저 자동차 산업국으로 참가하게 되었고, 마지막에 한국도 저렴한 차량 위주로 참가하게 됨. 환경보호 관련 협정 1997년 교토의정..

코스톨라니 총서

이전 포스팅 [코스톨라니의 달걀]에서 이야기 했듯이 (링크: https://agite-nunc.tistory.com/14), 투자에 관심있는 주변인들이 책 추천을 해달라고 하면 자주 추천해주는 코스톨라니 총서들. 첫 번째 권인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에 이어 [투자는 심리게임이다], [실전 투자강의] 등의 책들이 있다. 코스톨라니 개인의 경험담을 위주로 쓰여져 있으나, 1906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오랜 시간동안 미국과 유럽의 증권시장의 역사를 바로 옆에서 지켜본 경험을 쭉 따라 읽어보는 것은 매우 유익하고 재미있다. (물론, 옛날 시대 사람인 만큼 성차별적인 사고방식도 간간히 보이긴 하지만.) 수십년동안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도 발전하면서 2차 산업, 3차 산업, 그리고 이제는 4차 산업..

책 추천 2020.12.25

코스톨라니의 달걀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책 목록중에는 꼭 코스톨라니 총서가 들어간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자주 추천하는 것은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인데, 사실 이 책 하나만 읽어도 좋고, 관심이 생기면 다른 시리즈도 읽어도 된다. 코스톨라니가 자신의 경험담을 통해 풀어내는 투자의 법칙이 잘 쓰여져 있는데, 아무래도 자신의 경험담을 통해 풀어내다 보니 반복적인 내용도 좀 있다. 코스톨라니가 생각하는 주식시장의 법칙 중 유명한 것은 코스톨라니의 달걀이다. 주식시장의 트렌드 우선 아래 그림처럼, 주식시장은 역사적으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하는 추세이다. 장기적인 추세는 우상향이지만, 한 사이클마다 꼭지점과 바닥점은 반복된다. 코스톨라니의 달걀은 이렇게 반복되는 주식시장의 ..

메타버스

메타버스란 메타버스는 가상·초월(meta)과 세계·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하는 말이다. 요즘 증권 쪽에서 인공지능 투자 관련해서 많이 핫하게 다루는게 메타버스이기에, 메타버스를 다룬 분석이나 메타버스 관련한 유튜브 영상도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 쪽에 관심이 있었다면, 최근들어 가상현실이나 아바타 같은 것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는 걸 봤을 것이다. 예를 들어 국내의 게임쪽에선 제페토가 잘 알려져 있고, 11월 17일에는 에스파라는 가상 걸그룹이 데뷔를 하기도 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Lol, 이하 롤)를 재미있게 플레이하고 지금도 자주 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K/DA라는 가상 걸그룹에 대해서 잘 알 것이다. youtu.be/_hugv0CBh-E?..

은퇴에 필요한 자산은 얼마일까?

Fire 족은 이미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단어이다. 은퇴를 위해 돈을 모으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그러면 은퇴할 수 있는 자산은 과연 어느 정도 규모여야 할까? 10억? 30억? 그 답은 사람들마다 다르다. [파이낸셜 프리덤] 책의 저자인 그랜트 사바티어는 예상되는 1년 저축액의 약 25배를 생각하고 모으라고 한다. (사바티어는 여기에 완충으로 1년치의 저축액을 더 아껴두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이해해야 할 것이 바로 4퍼센트 이자로 먹고 사는 법인데, 4퍼센트 이자는 많은 곳에서 나오는 기준이다. 이 방법에 대해 조금 더 풀어보자면, 예를 들어 내가 원하는 목표 금액을 가지고 은퇴를 했는데, 은퇴 당시의 내 자산이 투자로 연 7%정도씩 늘어난다고 치자. 그러면 내가 이 연7%의 수익 중 약 4%만 인..

IRP, 연금저축을 이용한 절세 + 연금 공부

** 곧 연말 정산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인데, 연금저축계좌가 만기되어 재가입겸 이것 저것 알아보는 내용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연금저축(개인연금) 이렇게 세 종류를 연금 3층 석탑이라고 부른다. 특히 퇴직연금과 연금저축상품에는 세제혜택도 있으므로, 내년 연말 정산을 위해 다시 공부 해 본다. 요약하면 연 납입가능 금액은 퇴직연금(IRP) + 연금저축 + DC 합산하여 1,800만원이며, 세 개 합산해서 연 최대 700만원 세액공제 가능. 여기서 연금저축의 경우 단독으로 최대 400만원, IRP/DC는 단독으로 최대 700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연금저축으로 400만원 공제 받을시 IRP/DC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은 300만원까지로 정해진다. 즉 연말 정산 세액공제를 위해서는 연..

펀드 클래스 고르기

연금계좌를 굴리기 위해서든, 아니면 일반 투자용 계좌에서 펀드를 굴리기 위해서든, 펀드를 검색하고 찾다보면 투자 초보자들은 헷갈린다. 이름은 똑같은거 같은데 펀드 뒤에 붙는 알파벳 글자가 다르다. 펀드의 이름을 보면 대략적으로 어떤 운용사가 어떤 상품을 운용하는 펀드인지 추측이 가능하지만, 알파벳은 무슨 의미인지 잘 와 닿지 않는다. 이 알파벳은 펀드의 클래스를 구분하는 기호이다. 펀드의 클래스란 보통 운용사에서 상품(펀드)을 출시할 때, 펀드 하나만 내어 놓는게 아니라, 같은 투자 상품에 다양한 체계의 보수와 수수료가 책정하여 클래스로 구분해서 출시한다. 투자자 개개인마다 단기적으로 넣어두기도 하고, 장기적으로 넣어두기도 하기 때문에, 각 투자자별로 성향에 맞는 보수를 책정한 펀드를 구분하여 출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