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6

부자언니 부자특강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돈을 모으고 싶은 사람들이나, 혹은 대충 살다가 이제 나도 돈을 모아야 겠다 생각한 사람들이라면 꼭 읽고가야 할 책. 재테크에 대한 마음가짐, 복리의 법칙, 그리고 간단한 경제학 원리도 언니가 쉽게쉽게 다 풀어서 설명해준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쉬운 예시로 쉽게 풀어주기 때문에 금리가 뭔지, 주식이 뭔지 하나도 모르는 왕초보들도 쉽게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이제 막 종잣돈을 모아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해야 할 투자/재테크 단계가 무엇인지 하나하나 언니가 친절하게 다 짚어준다. 중간중간 언니가 인용하거나 주석을 달아둔 책들은 이 책을 다 읽고나서 경제나 사회 전반에 대해 더 깊게 공부하고 싶다면 읽어볼 만한 책들이다 (예: 환율 전쟁). 돈 모으는거, 막막하게 느껴지..

책 추천 2020.10.05

파이낸셜 프리덤 [Financial Freedom]

경제적 독립을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추천하게 되는 책은 파이낸셜 프리덤이다. 추천 평 많은 사람들이 근래 단순 저축이 아니라, 돈을 불려야지 하고 결심하지만, 어떻게 불려야 할지 처음에는 막막하다. 이 책은 그 초반의 막막한 의문점들에 대해 속시원하게 풀어준다. 한국인 대부분이 경제나 금융에 대해 잘 알지 못하다 보니, 돈을 불려야지 결심한 지인들이 자주 물어보는 것 중 하나가 단리와 복리의 차이였다. 이 책은 복리 효과에 대해 도표로 연도별 얼마를 투자하면 복리효과로 얼마만큼 불어나는지 직접 보여주어, 시각적으로 그 어마어마한 차이를 깨우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내가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목표금액을 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 부분인데, 사실 내가 초반에 제일 많이 헤맸..

책 추천 2020.09.24

투자설명서 해석하기

은행이나 증권사 창구에서든, 온라인에서든, 펀드를 가입하기 전에 투자설명서 또는 간이투자설명서를 보고 동의하는 부분이 있다. 많은 분들이 투자설명서에 대해 어렵게 생각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그냥 넘기는 경우가 많을텐데, 내가 투자하는 펀드의 돈이 어떻게 굴려지는지에 대한 많은 설명이 다 담겨 있으니 꼭 한 번은 읽어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말로 깜깜이 투자를 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투자설명서는 이 상품의 종류가 무엇인지, 어디에 투자를 하는지, 운용관리인력은 누구인지, 펀드의 기준가는 어떻게 지정되는지, 운용 수수료를 비롯한 각종 수수료가 어떻게 청구되는지 등 상세한 정보를 다 담고 있으며, 펀드에 투자하고자 할 때 꼭 알아야 하는 정보들이 있기 때문에 꼭 한번 훑어보아야 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Relational Data Base)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관리 시스템은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혹은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IBM 산 호세 연구소의 에드거 F.커드가 최초로 도입했다. 현재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회사들의 경우 대부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회사 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들의 각 열(Column)은 데이터의 속성을 가지며, 각 Column의 Row는 속성에 대한 값을 가지게 된다. 테이블의 각 row는 해당 row를 식별할 수 있는 Key를 가지게 되며, row는 레코드(record) 또는 튜플(tu..

Data 2020.08.23

평균 (Average, Mean)

통계하면 가장 많이 들어보는 것이 평균이다. 여러 분야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지표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평균이라는 단어를 들었을때 사람들이 떠올리는 평균의 정의는 산술평균(Arithmatic mean) 이다. 하지만 평균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등. 산술 평균 (Arithmatic Mean) 데이터의 총 합을 데이터의 갯수로 나누어 계산하는 평균이다. 계산법은 아래와 같다. $ \overline{X} = \frac{x_{1} + ... + x_{n}}{n} $ 여기서 n은 데이터의 갯수이며 $ x_{1}, ... , x_{n} $ 은 각 데이터 값이다. 여기까지는 많이들 아는 평균의 계산법이다. 기하 평균 (Geometric Mean) 기하 평균의 계산법은 조금 특이하다..

Math & Statistics 2020.08.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