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계좌를 굴리기 위해서든, 아니면 일반 투자용 계좌에서 펀드를 굴리기 위해서든, 펀드를 검색하고 찾다보면 투자 초보자들은 헷갈린다. 이름은 똑같은거 같은데 펀드 뒤에 붙는 알파벳 글자가 다르다. 펀드의 이름을 보면 대략적으로 어떤 운용사가 어떤 상품을 운용하는 펀드인지 추측이 가능하지만, 알파벳은 무슨 의미인지 잘 와 닿지 않는다. 이 알파벳은 펀드의 클래스를 구분하는 기호이다.
펀드의 클래스란
보통 운용사에서 상품(펀드)을 출시할 때, 펀드 하나만 내어 놓는게 아니라, 같은 투자 상품에 다양한 체계의 보수와 수수료가 책정하여 클래스로 구분해서 출시한다. 투자자 개개인마다 단기적으로 넣어두기도 하고, 장기적으로 넣어두기도 하기 때문에, 각 투자자별로 성향에 맞는 보수를 책정한 펀드를 구분하여 출시한다.
저번에 쓴 '펀드 투자설명서 해석하기' 글에서 펀드의 수수료와 보수에 대해 설명이 되어 있으니, 그 글을 먼저 읽고 왔다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여튼 클래스의 대략적인 구분 기준은 판매보수율 및/또는 판매수수료라는 것을 기억하면 된다.
수수료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펀드 매매시 판매사(증권사 또는 은행. 운용사는 판매를 하지 않음)에 지불하게 되는 비용이다. 주식 투자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매매수수료 비슷한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이다. 수수료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뉘어지며, 아래와 같다.
- 선취 수수료: 펀드에 가입할 때 판매 수수료 지불
- 후취 수수료: 펀드를 환매할 때 판매 수수료 지불
- 환매 수수료: 펀드 만기일보다 이전에 환매를 하게 될 경우 고객이 일시에 지불하게 되는 수수료.
보수
수수료와 보수 둘다 의미는 비슷하나, 여기서 보수는 펀드를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관리비라고 생각하면 된다. 운용사에게 지급되는 운용보수, 수탁사에 지급되는 수탁보수, 기타 일반사무관리보수 등이 있는데, 이렇게 펀드의 운용 및 관리와 관련된 보수 및 비용은 모든 클래스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보수보다는 수수료가 선취인지 후취인지, 환매수수료가 있는지 등을 보고 적합한 펀드 클래스를 선택하게 된다.
펀드의 클래스
클래스 | 구분 | 특징 |
A | 선취 수수료 | 펀드 매수시 수수료 지불 |
B | 후취 수수료 | 펀드 환매시 수수료 지불 |
C | 수수료 미징구 | 수수료 없는 대신 투자 기간에 비례해 판매보수 부과 |
D | 수수료 선후취 | 펀드 매수, 환매시 다 수수료 지불 |
e | 온라인 | 온라인으로 구매 가능한 상품 |
S | 온라인 슈퍼마켓 | 한국포스증권 등에서 파는 펀드 |
J | 직판 | |
CDSC | 보수체감 | |
G | 무권유 저비용 | |
P | 연금 (개인, 퇴직) | |
H | 주택마련 | |
F | 기관 | |
I | 고액 | |
W | 랩 |
가장 많이 보게 되는 클래스 유형은 A, C, S, 그리고 연금용도의 P 유형일 것이다. 소문자 e 형은 온라인에서 가입할 수 있는 (HTS/MTS에서) 펀드 유형에 붙기 때문에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고 Ae, Ce 이런식으로 대문자 뒤에 딸려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증권사나 은행 지점에 가서는 구매할 수 없다. 같은 A, C형이라 하더라도 온라인으로 사는 Ae, Ce형이 더 수수료가 싸다.
e가 붙는 것 외에도, S형은 비교적 최근에 생긴 구분인데, 한국포스증권 (구 펀드 슈퍼마켓)에서 가입할 수 있는 펀드로, 연평균 판매보수는 다른 펀드 클래스들 대비 저렴하지만, 가입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환매를 할 경우 후취 판매수수료를 떼기 때문에 장기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 한국포스증권에서 판매하는 펀드들은 대부분 증권사나 은행을 통해 판매되는 펀드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편이다.
일단 A, C형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풀어보자면, C형이 수수료 미징구라서 듣기에는 더 싸보일수도 있지만, 투자 기간에 비례해서 지급하게 되는 판매보수가 A형보다 센 편이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돈을 굴리고자 하는 경우라면 C형이 A형보다 유리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A형이 더 유리하다. 본인이 단기적으로 돈을 넣어두고자 계획한다면 C형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연금 펀드들은 뒤에 P가 붙어서 구분이 되는데, 주로 C-P/C-Pe (개인연금, 연금저축), Cp/Cpe (퇴직연금) 이런식으로 구분된다. 연금펀드는 대부분 장기적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으니, 일반 클래스에 비해 보수가 좀더 저렴하다.
'Investing > 펀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설명서 해석하기 (0) | 2020.08.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