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M1 맥에 파이선 + 주피터 노트북 설치하기

corycory 2022. 2. 1. 01:01
728x90
반응형

맥에서 새로 나온 M1칩은 기존 인텔칩보다 성능, 발열이 확실히 좋긴 한데 문제는 기존에 비해 작동하지 않는 코딩 프로그램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이번에 M1칩 맥북으로 바꾸면서 환경설정 하는 김에 기록으로 남긴다.

 

xcode 설치하기

앱스토어나 xcode 홈페이지에서 xcode를 검색해서 설치하면 된다. 일단 나는 앱스토어에서 검색해서 받았다.

appstore에서 xcode를 검색한 화면

 

miniforge 설치하기

 

다음 스텝으로는 miniforge를 설치한다. 아나콘다 공식페이지에서 실리콘 버전을 제공하진 않지만, 맥에 brew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아래 코드를 터미널에서 돌려서 miniforge를 설치해준다. miniforge는 맥에서 파이선 가상환경을 만들어준다. miniforge를 설치하고 나면 conda 환경이 사용 가능해진다!

brew install miniforge

참고 깃헙링크: https://github.com/conda-forge/miniforge#homebrew

 

GitHub - conda-forge/miniforge: A conda-forge distribution.

A conda-forge distribution. Contribute to conda-forge/miniforg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만약 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코드를 실행해서 설치해주면 된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가 끝나고 나면 아래 코드를 실행해서 brew를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한다.

brew update && brew doctor

 

 

파이선 설치하기

brew를 한 번 설치하면, 그 다음부터는 컴퓨터에 설치된 파이선 버전이나 설정을 바꾸기가 쉬워진다.

brew install pyenv 

 

아래의 명령어는 파이선 버전 3.9.1을 설치해준다. 만약 다른버전을 설치하고 싶다면 버전 번호를 바꿔도 된다.

pyenv install 3.9.1

이제 다음의 명령어는 .zshrc 파일에 파이선 설정을 복붙해줘서, 터미널에 접속할 때마다 매번 새로 설정을 해줘야 하거나 하는 불편함을 덜게 해준다. 

echo 'eval "$(pyenv init -)"' >> .zshrc

이제 아래 코드를 실행해주면 글로벌 환경에서 해당 설정을 사용하게 해 준다. 

pyenv global 3.9.1

 

 

주피터 설치하기

 

이제 환경설정은 다 끝났다! 이제 주피터를 본격적으로 설치해 보자. 터미널에서 아래 코드를 실행하여 주피터를 설치한다.

pip3 install jupyter

 

다음으로 주피터를 실행해보려면,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된다. 

jupyter notebook

 

그러면 아래처럼 localhost:8888/tree 페이지로 팝업창이 뜨면서 쓸 수 있다!!

이제 잘 쓰면 된다!

 

나는 설치과정은 다 잘 됐는데, jupyter notebook 실행하면 자꾸 안떠서 매우 빡쳤는데... python을 여기저기서 설치했던 기록이 있다면 충돌의 문제 일수 있으니 싹다 지우고 위에 pyenv install로 다시 깔았더니 해결이 됐다!

반응형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2020.08.23
BI 프로세스  (0) 2020.08.17